새로운 에너지 및 엔진으로 본 미래형 자동차 Down
[목차]
1. 동력 발생장치 (연료에 의한 분류)
: 효율을 높게 매연은 작게 친환경적으로 또한 쉽게 구할 수 있는 연료의 방향으로 발전할 것이다.
※무공해 자동차
①완벽한 무공해 자동차
②이론적으로는 완벽한데 실제적으로는 무공해라기보다는 저공해 자동차
③이론적으로도 저공해, 실질적으로도 저공해 자동차
1) 전기에너지를 활용한 방식
가. 태양열 자동차
그 야말로 이론적으로도 실제적으로도 대체에너지를 이용한 완벽한 무공해 자동차
① 구조: 차체를 덮고 있는 태양전지가 태양빛을 흡수하여 전기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기는 축전지에 축적되고 이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고 모터와 연결되어 있는 바퀴가 회전하면서 구동력을 얻는다.
② 장점: 완벽한 대체에너지 무공해
③ 단점: 아직까지 실용화 하기에는 가격이 너무 비싸고 출력이 약하다는 점입니다.
나. 전기자동차
다른 수단에 의해 얻은 전기에너지를 차량내부에 탑재되어 있는 축전지에 축적시켜 놓구 그 전기를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시키는 방식으로 이것도 완벽에 가까운 무공해이다.
① 장점: 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엔진을 사용하는 자동차에 비해
저소음, 저진동
② 단점: a. 다른 수단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면서 공해가 발생
b. 에너지 집적율(단위 질량당 에너지를 축적시킬 수 있는 능력)이
일반 4 사이클 엔진보다 적어 장거리 주행이 불리하다는 점.
c. 축전지를 제작하는데 드는 비용이 많다는 점 등등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