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근대사에서의 기독교의 역할과 위치 Report
[목차]
0 서론
I . 근대 이전의 기독교와의 접촉
II. 근대 중국과 기독교의 만남, 갈등과 공존
III. 논의
1. 기독교의 실패
2. 기독교가 중국에 끼친 영향
IV. 결론
그런데 교황 측에서는 제공사조를 금하게 되고 이 소식을 들은 강희황제는 마테오 리치의 규정을 지키지 않는 선교사들을 추방시켰다.(1707년) 1724년 옹정황제는 제위를 위협하는 반대 세력을 소탕하면서 그들이 천주교와 깊은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고 천주교를 철저하게 탄압하고 금지령을 내렸다. 이 이후에는 청에서 천주교가 핍박을 받게 되고 선교의 자유를 상당 부분 잃게 되었다.
II. 근대 중국과 기독교의 만남, 갈등과 공존
1. 아편전쟁과 기독교
1800년대 초에 여러 서구 열강들이 중국을 무대로 식민지 경쟁을 하게 된다. 특히 영국이 중국에 많은 집착을 가지고 접근을 하였다. 그리고 무역에 있어서 손해(비단, 차 등)를 보지 않기 위해서 아편을 밀수출했다. 이것이 중국에서 큰 문제가 되어서 중국 측에서는 아편 밀수를 금지하였다. 영국에서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아편전쟁을 일으켰다. 중국은 영국의 화력 앞에 무릎을 꿇고 1842년 남경 조약을 체결하게 된다.
아편 전쟁시에 중국 사정을 비교적 잘 알고 있던 선교사들이 큰 역할을 하게 된다. 그들은 중국의 지리에 밝았고 중국어와 중국 풍속을 잘 알고 있었기에 전쟁 작전 수행에도 도움을 주고 전쟁 후 조약 체결 시에도 큰 역할을 한다. 아편전쟁에 따른 남경 조약으로 5개 항구가 개항되고 그곳에 교회를 설립할 수 있도록 되었다. 또한 이후의 제 2차 아편전쟁의 결과로 체결된 중영천진조약과 중프천진조약으로 인해서 선교하는 것이 허용되게 되었다. 조약 체결국들의 선교사들은 내지를 순회하고 선교할 수 있었고 지방 관리들은 선교사들을 보호하여야 하였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