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어 < 三國誌 魏志 東夷傳(3세기)의 기록 > ① 고구려어와 부여어의 관계 ꡒ東夷舊語 以爲 夫餘別種 言語諸事 多與夫餘同 其性氣衣腹有異ꡓ 동이의 옛말에 의하면 고구려는 부여의 일종이다..국어사(고대, 옥저, 중세, 동예) ⇒ 고구려어 ·남방계 : 원시 한어 (마한 →백제, 고구려어, 옥저어, 다들 좋은 평가 받으시길 바랍니다. 근대국어 ~ 4. 한국국어사고대중세 1. ⇒ 부여어, 옥저어, 동예어를 포괄하는 한 어군을 형성 부여계 제어는 고구려어에 의해 대표되었고,, 부여,진수)의 기록 > ① 진한어와 마한어의 관계 ꡒ辰韓 在馬韓之東 其耆老傳世自言 古之亡人避秦役 來適韓國…其言語不與馬韓同ꡓ 진한은 마한 동쪽에 있다. . 그 나라 노인들이 전해 말하기를 옛날 도망 온 사람들이 진나라 의 부역을 피하여 한나라에 오자 진한은 그 동쪽 국경지방의 땅을 떼어서 그들에게 주었다 고 한다. ② 옥저어와 고구려어의 관계 ꡒ其言語與句麗大同 時時小異ꡓ 그들(옥저)의 언어는 고구려와 대체로 같으나 때때로 조금 다르다. ......
국어사(고대, 중세, 근대, 현대국어)
우리나라 고대부터 현대의 국어의 특징에 대해서 요약 정리한 자료입니다. 과제 작성하는데 모쪼록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하며, 다들 좋은 평가 받으시길 바랍니다. 한국국어사고대중세
1. 고대국어
음운체계
자음체계
모음체계
문법체계
어휘체계
표기
2. 중세국어
~
3. 근대국어
~
4. 현대국어
~
<시대별 예문>
* 고대 한반도 남북의 언어 (부여계 제어와 한계 제어)
·북방계 : 원시 부여어 (고구려, 부여, 옥저, 동예) ⇒ 고구려어
·남방계 : 원시 한어 (마한 →백제, 진한 →신라, 변한→가야 ) ⇒ 신라어, 백제어
< 三國誌 魏志 東夷傳(3세기)의 기록 >
① 고구려어와 부여어의 관계
ꡒ東夷舊語 以爲 夫餘別種 言語諸事 多與夫餘同 其性氣衣腹有異ꡓ
동이의 옛말에 의하면 고구려는 부여의 일종이다. 고구려의 언어와 여러 가지 일들이 부 여와 같은 점이 많고, 그 성질과 의복은 달랐다.
② 옥저어와 고구려어의 관계
ꡒ其言語與句麗大同 時時小異ꡓ
그들(옥저)의 언어는 고구려와 대체로 같으나 때때로 조금 다르다.
③ 동예어와 고구려어와의 관계
ꡒ其耆老舊自謂 與句麗同種…言語法俗 大抵與句麗同 衣服有異ꡓ
옛 노인들이 오래전부터 스스로 일러 고구려와 같은 종족이라 하였으며…예어의 언어와 법속이 대체로 고구려와 같고, 그러나 의복은 달랐다.
⇒ 부여어, 고구려어, 옥저어, 동예어를 포괄하는 한 어군을 형성
부여계 제어는 고구려어에 의해 대표되었고, 부여어, 옥저어, 예어 등은 소멸
< 三國誌 魏志 東夷傳(3세기,진수)의 기록 >
① 진한어와 마한어의 관계
ꡒ辰韓 在馬韓之東 其耆老傳世自言 古之亡人避秦役 來適韓國…其言語不與馬韓同ꡓ
진한은 마한 동쪽에 있다. 그 나라 노인들이 전해 말하기를 옛날 도망 온 사람들이 진나라 의 부역을 피하여 한나라에 오자 진한은 그 동쪽 국경지방의 땅을 떼어서 그들에게 주었다 고 한다. 여기는 성이 있고 그 언어는 마한과 같지 않다.
현대국어) 근대 Down 현대국어) 국어사(고대 국어사(고대 GP GP Down 중세 현대국어) 국어사(고대 중세 근대 Down GP 근대 중세
중세국어 ~ 3. 국어사(고대, 중세, 근대, 현대국어) Down IH . 고구려의 언어와 여러 가지 일들이 부 여와 같은 점이 많고, 그 성질과 의복은 달랐다.. 근대국어 ~ 4. ⇒ 부여어, 고구려어, 옥저어, 동예어를 포괄하는 한 어군을 형성 부여계 제어는 고구려어에 의해 대표되었고, 부여어, 옥저어, 예어 등은 소멸 < 三國誌 魏志 東夷傳(3세기,진수)의 기록 > ① 진한어와 마한어의 관계 ꡒ辰韓 在馬韓之東 其耆老傳世自言 古之亡人避秦役 來適韓國…其言語不與馬韓同ꡓ 진한은 마한 동쪽에 있다. 중세국어 ~ 3.국어사(고대, 중세, 근대, 현대국어) Down IH . 여기는 성이 있고 그 언어는 마한과 같지 않다. . 과제 작성하는데 모쪼록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하며, 다들 좋은 평가 받으시길 바랍니다. ⇒ 부여어, 고구려어, 옥저어, 동예어를 포괄하는 한 어군을 형성 부여계 제어는 고구려어에 의해 대표되었고, 부여어, 옥저어, 예어 등은 소멸 < 三國誌 魏志 東夷傳(3세기,진수)의 기록 > ① 진한어와 마한어의 관계 ꡒ辰韓 在馬韓之東 其耆老傳世自言 古之亡人避秦役 來適韓國…其言語不與馬韓同ꡓ 진한은 마한 동쪽에 있다. 국어사(고대, 중세, 근대, 현대국어) Down IH . 국어사(고대, 중세, 근대, 현대국어) Down IH . 현대국어 ~ <시대별 예문> * 고대 한반도 남북의 언어 (부여계 제어와 한계 제어) ·북방계 : 원시 부여어 (고구려, 부여, 옥저, 동예) ⇒ 고구려어 ·남방계 : 원시 한어 (마한 →백제, 진한 →신라, 변한→가야 ) ⇒ 신라어, 백제어 < 三國誌 魏志 東夷傳(3세기)의 기록 > ① 고구려어와 부여어의 관계 ꡒ東夷舊語 以爲 夫餘別種 言語諸事 多與夫餘同 其性氣衣腹有異ꡓ 동이의 옛말에 의하면 고구려는 부여의 일종이다.국어사(고대, 중세, 근대, 현대국어) 우리나라 고대부터 현대의 국어의 특징에 대해서 요약 정리한 자료입니다.국어사(고대, 중세, 근대, 현대국어) 우리나라 고대부터 현대의 국어의 특징에 대해서 요약 정리한 자료입니다. . 국어사(고대, 중세, 근대, 현대국어) Down IH . 여기는 성이 있고 그 언어는 마한과 같지 않다. 고대국어 음운체계 자음체계 모음체계 문법체계 어휘체계 표기 2. 국어사(고대, 중세, 근대, 현대국어) Down IH . ③ 동예어와 고구려어와의 관계 ꡒ其耆老舊自謂 與句麗同種…言語法俗 大抵與句麗同 衣服有異ꡓ 옛 노인들이 오래전부터 스스로 일러 고구려와 같은 종족이라 하였으며…예어의 언어와 법속이 대체로 고구려와 같고, 그러나 의복은 달랐다. 고대국어 음운체계 자음체계 모음체계 문법체계 어휘체계 표기 2. 과제 작성하는데 모쪼록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하며, 다들 좋은 평가 받으시길 바랍니다. 그 나라 노인들이 전해 말하기를 옛날 도망 온 사람들이 진나라 의 부역을 피하여 한나라에 오자 진한은 그 동쪽 국경지방의 땅을 떼어서 그들에게 주었다 고 한다. 국어사(고대, 중세, 근대, 현대국어) Down IH . 국어사(고대, 중세, 근대, 현대국어) Down IH . 국어사(고대, 중세, 근대, 현대국어) Down IH . 한국국어사고대중세 1. 한국국어사고대중세 1. 고구려의 언어와 여러 가지 일들이 부 여와 같은 점이 많고, 그 성질과 의복은 달랐다.. ③ 동예어와 고구려어와의 관계 ꡒ其耆老舊自謂 與句麗同種…言語法俗 大抵與句麗同 衣服有異ꡓ 옛 노인들이 오래전부터 스스로 일러 고구려와 같은 종족이라 하였으며…예어의 언어와 법속이 대체로 고구려와 같고, 그러나 의복은 달랐다. ② 옥저어와 고구려어의 관계 ꡒ其言語與句麗大同 時時小異ꡓ 그들(옥저)의 언어는 고구려와 대체로 같으나 때때로 조금 다르 근대국어 ~ 4. 국어사(고대, 중세, 근대, 현대국어) Down IH . 국어사(고대, 중세, 근대, 현대국어) Down IH . ② 옥저어와 고구려어의 관계 ꡒ其言語與句麗大同 時時小異ꡓ 그들(옥저)의 언어는 고구려와 대체로 같으나 때때로 조금 다르. 국어사(고대, 중세, 근대, 현대국어) Down IH . 현대국어 ~ <시대별 예문> * 고대 한반도 남북의 언어 (부여계 제어와 한계 제어) ·북방계 : 원시 부여어 (고구려, 부여, 옥저, 동예) ⇒ 고구려어 ·남방계 : 원시 한어 (마한 →백제, 진한 →신라, 변한→가야 ) ⇒ 신라어, 백제어 < 三國誌 魏志 東夷傳(3세기)의 기록 > ① 고구려어와 부여어의 관계 ꡒ東夷舊語 以爲 夫餘別種 言語諸事 多與夫餘同 其性氣衣腹有異ꡓ 동이의 옛말에 의하면 고구려는 부여의 일종이다. 그 나라 노인들이 전해 말하기를 옛날 도망 온 사람들이 진나라 의 부역을 피하여 한나라에 오자 진한은 그 동쪽 국경지방의 땅을 떼어서 그들에게 주었다 고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