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무역과 해외직접투자 자료실 우리나라의 무역 규모와 해외직접투자 규모 업로드
[목차]
한국의 무역과 해외직접투자
우리나라의 무역규모는 1980년 398억 달러에서 2001년 2,915억 달러로 7.3배 확대되었다. 이 중 수출은 175억 달러(1980년)에서 1,504억 달러(2001년)로 약 8.6배가 증가하였고, 수입 또한 223억 달러(1980년)에서 1,411억 달러(2001년)로 약 6.3배 확대되었다. 그리고 무역업체도 1980년 말 2,677개였던 것이 2001년 말 94, 329개로 35배가 늘었으며, 수출상품은 1980년에 6,xxx개였던 것이 2001년에는 8,173개로 1.36배가 확대되었다.
한국의 무역 추이
1997년 말 외환위기 이후 수출은 경제회복의견인차 역할을 수행하여 수출의 경제성장 기여율은 16-37%에 달하고 있다. 특히 2000년의 경우 수출에 의한 경제성장률이 3.5%로 경제성장(9.3%)의 37.6%에 달해 외환위기 극복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수출에 의한 생산 유발도는 19...
한국의 무역과 해외직접투자
1. 한국의 무역 규모
우리나라의 무역규모는 1980년 398억 달러에서 2001년 2,915억 달러로 7.3배 확대되었다. 이 중 수출은 175억 달러(1980년)에서 1,504억 달러(2001년)로 약 8.6배가 증가하였고, 수입 또한 223억 달러(1980년)에서 1,411억 달러(2001년)로 약 6.3배 확대되었다. 그리고 무역업체도 1980년 말 2,677개였던 것이 2001년 말 94, 329개로 35배가 늘었으며, 수출상품은 1980년에 6,xxx개였던 것이 2001년에는 8,173개로 1.36배가 확대되었다.
한국의 무역 추이
1997년 말 외환위기 이후 수출은 경제회복의견인차 역할을 수행하여 수출의 경제성장 기여율은 16-37%에 달하고 있다. 특히 2000년의 경우 수출에 의한 경제성장률이 3.5%로 경제성장(9.3%)의 37.6%에 달해 외환위기 극복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수출에 의한 생산 유발도는 1990년대에 비해 다소 감소했으나 1.8배 정도의 높은 수준으로 수출이 증대될수록 국내생산도 크게 증가하였는데, 이에 따라 수출의 취업 기여율이 15~16%대를 유지하여 고용확대와 실업극복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에 의한 국민경제 기여율
2. 한국의 해외직접투자 규모
우리나라의 해외직접투자는 건수별로 보면, 1968년 인도네시아에 남방개발이 산림개발을 목적으로 최초로 투자한 이래 1980까지는 저조했으나, 1987년 처음으로 허가건수가 109건으로 100건을 넘어섰다. 그 후 우리나라의 해외직접투자는 급속히 증가하여 1…(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