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실험 업로드 전하와 전기력 결과레포트 Report
[목차]
1.1 개요
2. 이론적 배경
4.1 고전압 전선 끝에 모여 있는 전하들
4.2 도체 구에 모여 있는 전하들
4.3 추가 의문
1. 전하와 전기력
1. 서론
1.1 개요
- 정전기 유도
정전기 유도의 그림. 출처: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xxx-xxxx-xxxx3
도체나 유전체에 대전체를 가까이 가져갈 때, 전기장의 영향으로 물체의 표면에 전하가 유도되는 현상이다. 대전체와 가까운 쪽에는 대전체와 다른 종류의 전하가, 반대쪽에는 같은 종류의 전하가 나타난다. 접지하거나 대전체에 닿지 않으면, 물체는 전체적으로 원래의 전기적 중성상태를 유지한다.
1.2 목적
전하를 띤 물체 간에 작용하는 전기적 인력과 척력을 직접 경험해본다.
2. 이론적 배경
- 옴의 법칙
1826년 독일의 물리학자 G. S. Ohm(옴)이 발견했다. 옴의 법칙은 전기회로 내의 전류, 전압, 저항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매우 중요한 법칙이다. 전압의 크기를 V, 전류의 세기를 I, 전기저항을 R이라 할 때, V=IR의 관계가 성립한다.
- 클롱의 법칙
전하의 밀고 당김은 힘을 연상시킨다. 조지프 프리스틀리와 쿨롱이 1700년대 후반에, 전기력이 두 전하를 잇는 일직선상에서 작용하고, 두 전하의 곱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러한 쿨룽의 법칙은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F₁₂는 전하 q₁이 전하 q₂에 작용하는 힘이다. r은 두 전하 중심 사이의 거리이다. ``
비례상수는 이다.
3. 시험용 기구
준비물: 고전압 전원, 집게 전선, 스탠드, 실, 스티로폼 공 2개, 은박지, 정밀 저울(공용)
고전압 전원
집게 전선
정밀저울
스티로폼 공 2개
4 시험 방법
4.1 고전압 전선 끝에 모여 있는 전하들
(1) 고전압 전원(high-voltage source)에 6V 어댑터를 연결하고 전원 스위치를 누른 후, output 스위치를 누르면 약 4000 V의 전위차가 발생된다. 붉은 전선에는 약 +4000 V가, 검은 전선에는 0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