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사회 복지론 다운받기
[목차]
-차 례-
3) 다양한 실천 모형/ 전략/ 전술/ 활동가의 역할 연구
지역복지활동의 기본모형으로 로스만의 3가지 모형, 사회행동, 지역사회개발 등 다양한 모형 제시할 필요 있음. 모형의 구분 기준은 조직가의 역할/ 과업과 서비스 이용자의 정책결정과정에의 참여정도에 의해 결정됨.
2. 21세기 환경변화와 지역복지 활동영역 확대
1) 복지제공에 대한 지역사회의 역할 재발견
-자본주의 사회에서 복지모형에 대한 연구는 국가와 시장을 양 축으로 어느 쪽에 주된 책임을 줄 것인가가 논쟁의 핵심이 되어왔음.
-에스핑 앤더슨 : 사회복지에 대한 국가의 역할을 강조하는 모형과 시장의 역할을 중시하는 모형, 그 중간에 해당하는 모형을 제시.
-바그너 : 복지자본주의의 새로운 전형으로 공동체적 복지 레짐을 제시함.
공동체적 복지 레짐 : 경제력에 대한 민주적 통제와 사회집단의 완전참여라는 전제 하에 복지제공에 대한 정부의 역할을 지방정부와 노조와 같은 기능적 공동체와 분담하는 시스템
2) 지역복지 활동 영역의 확대 : 정보통신학의 발전으로 인해 활동 영역 확대됨.
-가상공간을 이용한 지역복지활동
-국토정보시스템의 활용 : 사회조사, 사회계획, 경영관리 측면에서 개선 가져옴. 그러나 예산문제나 구 시스템에 익숙한 기존성원들의 소극적 대응 등이 문제가 될 수 있음.
-군축과 평화운동 : 경제적 전환과 관련해서 사회사업가에게 기대되는 주요 역할은 “국방예산과 사회복지 예산 과련 청문회에서의 증언”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