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화와 공동체의 변화 Up
[목차]
1. 공간극복의 노력과 공동체의 변화 ◎ 인간은 숙명적으로 사회적 동물이다. ◎ 공동체 : 학자들은 학문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물리적 공간, 인간들의 사회적 관계, 그리고 정서적인 동류의식의 세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 근대이전의 공동체 : 교통기술이 발전되지 못해 물리적 공간(지리적 조건)이 공동체 구성요소의 기초를 이루었다. 1> 얼마 전까지 공동체 연구에서 지리적 단위를 ‘공간’이라는 말로 표현해왔다. 그러나 오늘날 컴퓨터의 사용이 일반화된 사회에서 ‘공간’이라는 용어는 지리적 단위나 물리적 공간을 의미하는 ‘물리적 공간’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적 영역을 말하는 ‘사회적 공간’, 컴퓨터네트워크에 의해 만들어지는 ‘사이버 공간’ 혹은 ‘가상공간’ 등의 다양한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 ◎ 인간의 문명은 지역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며 인간문명의 발달사는 크게 보아 물리적인 공간 극복의 역사였다고 할 수 있다. ◎ 기술발전과 사회 문화적 발전은 상호작용하면서 함께 변하는 것이지만, 많은 경우 기술발전을 근대사회 변화의 출발점으로 보면 사회변화를 이해하기가 쉬우며, 지역공동체는 물리적 공간구조나 변화로만 파악될 수 없다. ◎ 근대이후의 공동체 : 지리적인 단위보다 인간들의 정서적 공통유대의 측면이 훨씬 더 강조된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