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의해외사업조직 Report
삼성전자의 해외사업조직
1. 서론: 글로벌 기업의 조직구조
(1) 글로벌화와 현지화의 조화
생산 기술과 통신, 교통의 급속한 발전은 기업이 해외 시장에 진출할 가능성을 열어주었으며, 기업은 글로벌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조직 구조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리고 글로벌 기업의 조직 구조는 글로벌화와 현지화의 조화가 필요하다. 글로벌화는 제품에 대한 기술과 생산 시설을 집중시키고 자원을 최적 분배함으로써 규모의 경제를 이루고 기술력 등의 핵심 역량을 효과적으로 키워 경쟁 우위를 창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무역 장벽이 점차 사라지고 세계 유수 기업들이 치열하게 경쟁을 벌이고 있는 상황에서 글로벌화를 통한 경쟁력 향상은 국제 경영을 위한 필수적 조건일 것이다. 반면, 국제 경영의 현지화 중요성도 빠트릴 수 없다. 세계 각지에 퍼져 있는 소비자들의 문화적 취향 및 지역의 법률, 제도가 상이하기 때문에, 기업은 소비자 확보를 위해 현지 소비자 수요에 최대한 적절하게 대응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역에서 최대의 효과를 이끌어 내기 위해 현지 밀착 경영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현지화가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글로벌화와 현지화는 서로 추구하는 목표 및 운영방법이 상충되기 때문에 이를 어떻게 적절하게 조화시키느냐가 글로벌 기업이 해결해야 할 과제가 될 것이다. 그리고 글로벌 기업의 조직 구조 역시 글로벌화와 현지화를 잘 조화시키는데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2) 글로벌 기업의 조직 구조 변천과정
글로벌 기업들은 여러 시행 착오를 통하여 합리적인 구조를 찾아가고 있다. 초기 글로벌 기업들이 사용했던 `국제화된 사업부제 조직구조`는 주요 의사 결정권이 내수 위주의 제품별 사업부에만 집중되고, 국제 사업부는 해외 영업에서 제한된 의사 결정만을 행하였다. 이는 제품에 대한 노하우와 해외시장에 대한 정보가 이분화되는 단점을 나타내었다. 기업들은 해외 사업 규모가 더 커짐에 따라 제품별로 국제적으로 관리하는 `제품별 사업부`, 혹은 지역별로 관리하는 `지역별 사업부` 구조를 띄게 된다. 그러나 전자는 글로벌화에 치중하고 후자는 현지화에 치중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 둘의 장점을 취하기 위해 기업을 제품, 지역 차원으로 나누어 조직에 속한 구성원들이 제품과 지역 양쪽 조직에 속하면서 이 둘에게 동시에 통제 받는 `매트릭스 …(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