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낙동강유역 등 남부지방에서도 일찍 부터 재배되고 있었다. 우리나라의 고대인들 즉 우리 먼 조상들의 음식생활은 어떠하였을까 우리가 일상적으로 먹고 있는 쌀을 고조선이나 삼국시대의 사람들은 쉽게 대할 수 없었다. 그리고 완도의 여서도는 답사의 하이라이트라고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유적의 중요성 때문에 일찍부터 국내외 학자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다. 그리고 부산에서는 두번째 일정으로 김해 회현리 패총. 동삼동 패총을 보고 나서 전시실을 잘 꾸며 놓은 것에 대한 만족감은 들었지만, 1963~64년에는 미국의 학자들이 시굴조사를, 오늘날 먹고 있는 김치의 담 금 방식은 조선시대에 확립된 것이다. 농경이 발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원시인들은 채집이나 사냥을 통해 식량을 얻었다.zip 우리나라패총답사기행문 우리나라패총답사기행문 REPORT 김승민 우리나라 패총 답사 기행문 이번 답사는 남해안 지역의 패총 유적들을 둘러보는 답사였습니다. 김치를 담글 때 없어서는 안되는 양 념인 마늘도 그때는 ......
우리나라패총답사기행문 DownLoad
우리나라패총답사기행문.hwp 자료문서 (압축문서).zip
우리나라패총답사기행문
우리나라패총답사기행문
REPORT
김승민
우리나라 패총 답사 기행문
이번 답사는 남해안 지역의 패총 유적들을 둘러보는 답사였습니다. 남해안은 지금 내가 살고 있는 곳이라서 다른 지역 보다 더욱더 정감이 더 가는 지역이었다. 그리고 완도의 여서도는 답사의 하이라이트라고 할 수 있었다.
이 번 답사는 다른 답사와 일정이 빡빡하지 않은 편이여서, 다른 때의 답사보다 더 많은 걸 볼 수 있었다. 문화재나 유적지에 도착하면 미리 준비한 학생들이 발표를 하고 교수님의 보충설명을 듣는 방식으로 답사는 진행됐다.
옛날로 갈수록 식량 획득은 쉽지 않았다고 여겨진다. 농경이 발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원시인들은 채집이나 사냥을 통해 식량을 얻었다.이러한 원시인들의 생활은 오늘날의 우리에게는 낭만적 일지도 모르지만 필요한 식량을 충분히 얻을 수 있는 방법이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식량 확보문제는 당시의 인간들을 짓누르는 짐이었을 것이다. 고대사회에 이르러 농업이 상당한 정도로 발전하였던 것이 사실이지만 식량 확보는 대다수 일반민들에게는 여전히 어려운 과제였다. 그럼 이제부터 인간의 삶에서 가장 소중한 식생활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고대사회의 실상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우리나라의 고대인들 즉 우리 먼 조상들의 음식생활은 어떠하였을까
우리가 일상적으로 먹고 있는 쌀을 고조선이나 삼국시대의 사람들은 쉽게 대할 수 없었다. 벼 는 한강유역에서는 이미 기원전에 재배되었고 금강유역, 낙동강유역 등 남부지방에서도 일찍 부터 재배되고 있었다. 하지만 삼국시대까지도 쌀은 일반민들이 흔하게 먹을 수 있는 곡식이 아니었다.고구려지역에서는 쌀이 더욱 귀하였고 백제나 신라에서는 벼 재배를 국가에서 적극 권장하고 있었지만, 쌀은 왕이나 귀족들이 먹는 귀한 곡물이었고, 일반민들은 보리와 콩, 조, 밀을 주식으로 하였다. 그러나 이때의 곡식들은 숱한 개량과 변화를 거친 오늘날의 곡식과 같 이 생각해서는 안될 것이다.
반찬은 어떠했을까
가장 궁금한 문제의 하나는 과연 그때에도 김치가 있었을까 하는 것이다. 김치는 고조선이나 삼국시대에도 있었다. 물론 오늘날 우리가 식탁에서 대하는 김치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었다. 고추는 조선시대 때부터 사용되었던 것으로 밝혀져 있는만큼, 오늘날 먹고 있는 김치의 담 금 방식은 조선시대에 확립된 것이다. 고대사회에는 배추가 널리 재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배추김치가 김치의 주종을 이루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김치를 담글 때 없어서는 안되는 양 념인 마늘도 그때는 널리 재배되지 않았다. 우리가 먹는 마늘은 한(漢)대 이래 서역과 교류 를 가지면서 중국에 들여와 보급되기 시작했다. 따라서 우리의 경우는 그보다 더 늦은 시기 에 들어왔을 것이다. 김치 외에도 각종 장이 담가져 양념으로 혹은 반찬으로 사용되었다. 채소류 이외의 반찬 재료로는 물고기나 각종 짐승이 있었다. 조개류는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 었는데, 김해나 백령도 등에서 보이는 패총(貝塚)은 조갯살을 먹고 버린 껍질이 쌓인 것으로 이 사실을 잘 보여준다. 그리고 식용으로 널리 이용된 가축으로는 돼지와 닭이 있다. 돼지는 고구려 건국신화에 등장하고 닭은 신라 김씨의 시조설화에도 나올 만큼 친근한 가축이었다. 특히 돼지는 고구려의 경우 국가 제사의 제물로 사용되고 있었다.
동삼동패총은 한반도의 최남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남해안 일대에서는 가장 규모가 크다. 또한 여러 문화층이 겹쳐져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신석기문화 연구에는 아주 중요한 유적이다.
이러한 유적의 중요성 때문에 일찍부터 국내외 학자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다. 일제 때에는 일본인 학자들에 의해 부분적으로 발굴되었고, 1963~64년에는 미국의 학자들이 시굴조사를, 1969~71년에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면 발굴을 실시하였으며, 1999년에는 부산박물관에서 철거지역에 대한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동삼동 패총을 보고 나서 전시실을 잘 꾸며 놓은 것에 대한 만족감은 들었지만, 패총이 있던 자리를 잔디로 조성해 놓았던 부분에 있어서는 조금 실망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부산에서는 두번째 일정으로 김해 회현리 패총
그리고 식용으로 널리 이용된 가축으로는 돼지와 닭이 있다. 일제 때에는 일본인 학자들에 의해 부분적으로 발굴되었고, 1963~64년에는 미국의 학자들이 시굴조사를, 1969~71년에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면 발굴을 실시하였으며, 1999년에는 부산박물관에서 철거지역에 대한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우리나라패총답사기행문 DownLoad FP .우리나라패총답사기행문 DownLoad 우리나라패총답사기행문. 고대사회에는 배추가 널리 재배되지 않았다.hwp 자료문서 (압축문서). 김치를 담글 때 없어서는 안되는 양 념인 마늘도 그때는 널리 재배되지 않았다.zip 우리나라패총답사기행문 우리나라패총답사기행문 REPORT 김승민 우리나라 패총 답사 기행문 이번 답사는 남해안 지역의 패총 유적들을 둘러보는 답사였습니다. 따라서 우리의 경우는 그보다 더 늦은 시기 에 들어왔을 것이다.이러한 원시인들의 생활은 오늘날의 우리에게는 낭만적 일지도 모르지만 필요한 식량을 충분히 얻을 수 있는 방법이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식량 확보문제는 당시의 인간들을 짓누르는 짐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때의 곡식들은 숱한 개량과 변화를 거친 오늘날의 곡식과 같 이 생각해서는 안될 것이다. 우리나라패총답사기행문 DownLoad FP . 김치 외에도 각종 장이 담가져 양념으로 혹은 반찬으로 사용되었다. 돼지는 고구려 건국신화에 등장하고 닭은 신라 김씨의 시조설화에도 나올 만큼 친근한 가축이었다.. 우리나라패총답사기행문 DownLoad FP . 우리나라패총답사기행문 DownLoad FP . 우리나라패총답사기행문 DownLoad FP . 그리고 완도의 여서도는 답사의 하이라이트라고 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패총답사기행문 DownLoad FP . 채소류 이외의 반찬 재료로는 물고기나 각종 짐승이 있었다. 우리나라의 고대인들 즉 우리 먼 조상들의 음식생활은 어떠하였을까 우리가 일상적으로 먹고 있는 쌀을 고조선이나 삼국시대의 사람들은 쉽게 대할 수 없었다. 김치는 고조선이나 삼국시대에도 있었다. 하지만 삼국시대까지도 쌀은 일반민들이 흔하게 먹을 수 있는 곡식이 아니었다. 반찬은 어떠했을까 가장 궁금한 문제의 하나는 과연 그때에도 김치가 있었을까 하는 것이다. 우리가 먹는 마늘은 한(漢)대 이래 서역과 교류 를 가지면서 중국에 들여와 보급되기 시작했다. 물론 오늘날 우리가 식탁에서 대하는 김치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었다. 우리나라패총답사기행문 DownLoad FP . 그럼 이제부터 인간의 삶에서 가장 소중한 식생활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고대사회의 실상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이 번 답사는 다른 답사와 일정이 빡빡하지 않은 편이여서, 다른 때의 답사보다 더 많은 걸 볼 수 있었다. 우리나라패총답사기행문 DownLoad FP . 동삼동패총은 한반도의 최남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남해안 일대에서는 가장 규모가 크다.고구려지역에서는 쌀이 더욱 귀하였고 백제나 신라에서는 벼 재배를 국가에서 적극 권장하고 있었지만, 쌀은 왕이나 귀족들이 먹는 귀한 곡물이었고, 일반민들은 보리와 콩, 조, 밀을 주식으로 하였다. 따라서 배추김치가 김치의 주종을 이루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농경이 발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원시인들은 채집이나 사냥을 통해 식량을 얻었다. 남해안은 지금 내가 살고 있는 곳이라서 다른 지역 보다 더욱더 정감이 더 가는 지역이었다. 우리나라패총답사기행문 DownLoad FP . 이러한 유적의 중요성 때문에 일찍부터 국내외 학자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다. 또한 여러 문화층이 겹쳐져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신석기문화 연구에는 아주 중요한 유적이다. 특히 돼지는 고구려의 경우 국가 제사의 제물로 사용되고 있었다.우리나라패총답사기행문 DownLoad FP . 고대사회에 이르러 농업이 상당한 정도로 발전하였던 것이 사실이지만 식량 확보는 대다수 일반민들에게는 여전히 어려운 과제였다. 우리나라패총답사기행문 DownLoad FP . 벼 는 한강유역에서는 이미 기원전에 재배되었고 금강유역, 낙동강유역 등 남부지방에서도 일찍 부터 재배되고 있었 논문 이력서 방송통신 우르릉 시험자료 리포트 report 시험족보 학업계획 원서 솔루션 자기소개서 solution 실험결과 mcgrawhill 레포트 사업계획 우르릉 우르릉 manuaal 표지 실습일지 stewart 우르릉 atkins halliday sigmapress 우르릉 서식 전문자료 oxtob. 고추는 조선시대 때부터 사용되었던 것으로 밝혀져 있는만큼, 오늘날 먹고 있는 김치의 담 금 방식은 조선시대에 확립된 것이다. 그리고 부산에서는 두번째 일정으로 김해 회현리 패총. 문화재나 유적지에 도착하면 미리 준비한 학생들이 발표를 하고 교수님의 보충설명을 듣는 방식으로 답사는 진행됐다.. 옛날로 갈수록 식량 획득은 쉽지 않았다고 여겨진다. 우리나라패총답사기행문 DownLoad FP . 조개류는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 었는데, 김해나 백령도 등에서 보이는 패총(貝塚)은 조갯살을 먹고 버린 껍질이 쌓인 것으로 이 사실을 잘 보여준다. 동삼동 패총을 보고 나서 전시실을 잘 꾸며 놓은 것에 대한 만족감은 들었지만, 패총이 있던 자리를 잔디로 조성해 놓았던 부분에 있어서는 조금 실망이 되었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