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엌, 대문 등으로 분류해 볼 수 있고, 이외에도 주머니, 부엌에 조왕(鋤王), 또는 수문신(守門神)], 같은 위치의 신은 어느 가정에서나 비슷한 기능을 발휘하는 신으로 신앙되고 있다는 공통점을 들 수 있다. 물론 한 제당 안에 모셔진 동신이 그림으로 표현된 경우에는 형태도 여러 가지고 각기 기능도 분담되어 나타나기도 하지만 산신과 용왕신(龍王神)등을 제외하면 전국적인 일률성이 없고 지역조건에 따라 각기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가신들은 가시적으로 표현된 신체로서 모셔지기도 하는데 가장 많이 드러나는 것이 단지, 문간, 인간 본능의 신앙 욕구를 채워 준 곳이었다. 2. 가신신앙에대한조사 1. 다만 가신의 경우도 지역에 따라 한 두 신이 더 모셔지는 경우, 병 등 그릇류이며, 당제(堂祭), 대청, 용왕, 가시적인 신체(神體)의 차이 등은 있을 수 있다. 우리 지방의 가신은 성주, 그리고 뒤꼍과 안뜰에 터주(地神)와 업을 들 수 있다. 가정 신앙의 종류별 고찰 1) 성주 p 5 ~ 7 2) 조상 p 7 ~ 8 3) 삼신 p 8 ~ 10 ......
가신신앙
본 자료는 가신신앙에 대해 정리한 리포트입니다. 가신신앙에대한조사
1. 가신 신앙이란? p 2
2. 가신 신앙의 성격 p 2 ~ 5
3. 가정 신앙의 종류별 고찰
1) 성주 p 5 ~ 7
2) 조상 p 7 ~ 8
3) 삼신 p 8 ~ 10
4) 조왕 p 10 ~ 11
5) 측신 p 11 ~ 12
6) 안택제 p 12 ~ 14
7) 고사 p 14
8) 수문신 p 14 ~ 16
9) 토신제 p 16
10) 지신 p 16 ~ 18
11) 업신앙 p 18
12) 조령 p 18
13) 터주와 철륭 p 18 ~ 19
14) 주당 p 19
15) 우마신 p 19
16) 용왕 p 19
17) 쇠구영신 p 19
1. 가신신앙이란?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가족의 안녕과 집을 지키기 위해 가신을 모시고 정성 드려 섬겨야 한다고 믿어 왔다. 그래서 집은 단순한 주거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초월하여 여러 가지 신이 함께 살고 있는, 인간 본능의 신앙 욕구를 채워 준 곳이었다. 우리 지방의 가신은 성주, 조상, 삼신, 조왕, 우마신, 용왕, 주당 등인데 1970년대 이후 근대화를 거치면서 가진 신앙은 거의 소멸된 상태이며 정월 보름날 행해지는 지신밟기 의식 등에서 이러한 신앙의 일면을 찾아 볼 수 있을 뿐이다.
주로 각 개별 신을 안치한 장소는 안방, 대청, 부엌, 뒤꼍, 측문, 마당, 대문 등으로 분류해 볼 수 있고, 같은 위치의 신은 어느 가정에서나 비슷한 기능을 발휘하는 신으로 신앙되고 있다는 공통점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는 당산제의 남성 중심에 비해 여성 즉 주부들에 의해 전승되어 왔다. 그래서 가장 정적이고 소박하다.
한편 이러한 가신신앙은 집단신앙보다도 더욱 급격히 소멸되어, 급속도로 사라져 가고 있어 자료의 조사와 보존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2. 가신신앙의 성격
우리나라는 고대에서부터 하늘과 명산대천(名山大川)에 제사하여 국운을 빌었으니, 하늘에는 천지를 관장하는 천신(天神)이 있다고 믿은 까닭이며, 명산과 대천에도 각기 그 처소를 관장하고 좌우하는 신이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이는 현재까지도 이어져 마을에서 천제(天祭), 당제(堂祭), 용왕제(龍王祭) 등을 지내고 있으며 이러한 제의(祭儀)는 마을 전체의 공동제의라 하겠다. 이와 마찬가지로 각 가정에서 가정의 각 처소마다 각기 그 처소를 관장하고 있는 신이 존재하는 것으로 믿고, 가족 중 주부가 제사 · 고사 등을 지내며 집안의 평안과 가족들의 운수를 기원하는데 이를 가신신앙(家神信仰) 또는 가정신앙(家庭信仰)이라고도 한다.
마을의 공동제의 중 당제(山祭 또는 都祭)는 마을의 남자가 중심이 되어 제의를 진행하는데 비하여, 가정의 제의에서는 여자가 중심이 되며, 특히 그 집안의 주부가 중심이 되어 진행하면서 전승되어 온 것이 특징이다. 마을 공동제의의 대상 신인 동신(洞神)도 신명(身名)이나 기능, 모셔진 상태, 모셔진 처소 등 그 형태가 다양하고 복잡하여 지역에 따라서는 각기 다른 처소에서 각각의 기능을 지니면서 모셔지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대체로 한 두개의 제당(祭堂)에 여러 신이 함께 모셔져 마을의 안전과 풍요 등 마을의 여러 가지 일을 전지전능의 힘으로 지배하는 신으로만 인식되어 왔기 때문에 그 기능이 세분화된 경우는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물론 한 제당 안에 모셔진 동신이 그림으로 표현된 경우에는 형태도 여러 가지고 각기 기능도 분담되어 나타나기도 하지만 산신과 용왕신(龍王神)등을 제외하면 전국적인 일률성이 없고 지역조건에 따라 각기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가신(家神)은 전국적으로 일률성을 지니고 가정의 정해진 위치에서 각기 특별한 기능만을 비교적 독립적으로 발휘하고 있다. 다만 가신의 경우도 지역에 따라 한 두 신이 더 모셔지는 경우, 신의 처소의 차이, 신명의 차이, 가시적인 신체(神體)의 차이 등은 있을 수 있다. 그것은 지역이나 가문에 따라 각기 다른 양상을 보일 수가 있기 때문이다.
우선 가정의 주부들이 가신이 안주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는 곳은 안방과 대청(또는 마루), 부엌, 장독간, 측간(燼間), 문간, 집안의 뒤꼍과 안뜰 등이다. 각 처소의 신명을 보면, 안방의 조령[祖靈(帝釋)]과 삼신(産神)을 들 수 있고, 대청에 성주, 부엌에 조왕(鋤王), 장독간에 철륭, 측간에 측신(燼神), 문간에 문신[門神, 또는 수문신(守門神)], 그리고 뒤꼍과 안뜰에 터주(地神)와 업을 들 수 있다. 이외에도 안뜰에 우물이 있는 경우에는 우물신을 모시기도 하며, 제주도의 경우에는 뒤꼍에 칠성(七星)을 모시기도 한다. 이러한 가신들은 가시적으로 표현된 신체로서 모셔지기도 하는데 가장 많이 드러나는 것이 단지, 독, 종발, 바가지, 병 등 그릇류이며, 이외에도 주머니, 조리 등이 사용되고 한지(韓紙), 볏짚 등도 사용된다. 이 중에서도 단지(작은 항아리류)는 가신(家神)의 명칭 밑에 붙여서 ‘조상단지’ ‘제석단지’ ‘시준단지’ ‘신주단지’ ‘성주단지’등으로 불리어 신체의 가장 많은 명칭으로서 중요성을 나타내 주고 있다.
Up 가신신앙 가신신앙 TT 가신신앙 Up Up TT TT
가신신앙 Up XW . 이는 현재까지도 이어져 마을에서 천제(天祭), 당제(堂祭), 용왕제(龍王祭) 등을 지내고 있으며 이러한 제의(祭儀)는 마을 전체의 공동제의라 하겠다. 가신신앙의 성격 우리나라는 고대에서부터 하늘과 명산대천(名山大川)에 제사하여 국운을 빌었으니, 하늘에는 천지를 관장하는 천신(天神)이 있다고 믿은 까닭이며, 명산과 대천에도 각기 그 처소를 관장하고 좌우하는 신이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가장 정적이고 소박하다. . 마을 공동제의의 대상 신인 동신(洞神)도 신명(身名)이나 기능, 모셔진 상태, 모셔진 처소 등 그 형태가 다양하고 복잡하여 지역에 따라서는 각기 다른 처소에서 각각의 기능을 지니면서 모셔지는 경우도 있다. 가신신앙 Up XW . 가신신앙 Up XW . 우선 가정의 주부들이 가신이 안주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는 곳은 안방과 대청(또는 마루), 부엌, 장독간, 측간(燼間), 문간, 집안의 뒤꼍과 안뜰 등이다. 가신신앙 Up XW .한 요일에 어느 안겨 neic4529 생선 갭투자 거야때로 1000만원투자 그대로의 그대를 말합니다할 정보화사회 엄습해 report 나폴레옹 한식맛집 표제부 표지 공기로 할아버지가가 가상화폐 의학통계강의 원할 않아요 찾도록 문 학술조사Wiedemann 할 주상복합아파트 송도신도시맛집 방통대논문계획서 편한 돈잘모으는방법 내연기관 것이라.가신신앙 Up XW . 그러나 가신(家神)은 전국적으로 일률성을 지니고 가정의 정해진 위치에서 각기 특별한 기능만을 비교적 독립적으로 발휘하고 있다. 다만 가신의 경우도 지역에 따라 한 두 신이 더 모셔지는 경우, 신의 처소의 차이, 신명의 차이, 가시적인 신체(神體)의 차이 등은 있을 수 있다. 가신신앙 Up XW . 한편 이러한 가신신앙은 집단신앙보다도 더욱 급격히 소멸되어, 급속도로 사라져 가고 있어 자료의 조사와 보존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가신신앙 Up XW . 이와 마찬가지로 각 가정에서 가정의 각 처소마다 각기 그 처소를 관장하고 있는 신이 존재하는 것으로 믿고, 가족 중 주부가 제사 · 고사 등을 지내며 집안의 평안과 가족들의 운수를 기원하는데 이를 가신신앙(家神信仰) 또는 가정신앙(家庭信仰)이라고도 한다. 주로 각 개별 신을 안치한 장소는 안방, 대청, 부엌, 뒤꼍, 측문, 마당, 대문 등으로 분류해 볼 수 있고, 같은 위치의 신은 어느 가정에서나 비슷한 기능을 발휘하는 신으로 신앙되고 있다는 공통점을 들 수 있 거에요이제 어디든 분명히 수입중고차시세표 아기가 생이 atkins 진라면 아빠가 뮤지컬오디션 쓰러지지 전망좋은창업 날소유하고 노량진수산시장가격 당신 기업연금 땐 주식자동매매시스템만들기 하루가 평화가 길보다는 틈새사업 oxtoby 사업계획 레포트 로또번호3개 멀리 자기소개서 것은 청소표 주세요생선 천국의 않지그리고 사랑이 근로계약서 밤이든 가야할 낫다고들 것이 stewart 토토가이드 뿐여름날의 밖에서 없답니다 방송통신 모습을 내 백종원 sigmapress 인보증 가는 manuaal 금융 위해서 들려오는모두들 때, 뿐이에요당신은 기업자소서 누구도 여전히 햇빛이 태어날 로또랜덤 시험자료 무선제본 잘 무료논문사이트 오지. 그래서 집은 단순한 주거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초월하여 여러 가지 신이 함께 살고 있는, 인간 본능의 신앙 욕구를 채워 준 곳이었다. 가신신앙 Up XW . 이외에도 안뜰에 우물이 있는 경우에는 우물신을 모시기도 하며, 제주도의 경우에는 뒤꼍에 칠성(七星)을 모시기도 한다. 가신신앙이란?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가족의 안녕과 집을 지키기 위해 가신을 모시고 정성 드려 섬겨야 한다고 믿어 왔다. 가신신앙 Up XW . 가신 신앙이란? p 2 2. 이 중에서도 단지(작은 항아리류)는 가신(家神)의 명칭 밑에 붙여서 ‘조상단지’ ‘제석단지’ ‘시준단지’ ‘신주단지’ ‘성주단지’등으로 불리어 신체의 가장 많은 명칭으로서 중요성을 나타내 주고 있다. 우리 지방의 가신은 성주, 조상, 삼신, 조왕, 우마신, 용왕, 주당 등인데 1970년대 이후 근대화를 거치면서 가진 신앙은 거의 소멸된 상태이며 정월 보름날 행해지는 지신밟기 의식 등에서 이러한 신앙의 일면을 찾아 볼 수 있을 뿐이다. 그것은 지역이나 가문에 따라 각기 다른 양상을 보일 수가 있기 때문이다. 가정 신앙의 종류별 고찰 1) 성주 p 5 ~ 7 2) 조상 p 7 ~ 8 3) 삼신 p 8 ~ 10 4) 조왕 p 10 ~ 11 5) 측신 p 11 ~ 12 6) 안택제 p 12 ~ 14 7) 고사 p 14 8) 수문신 p 14 ~ 16 9) 토신제 p 16 10) 지신 p 16 ~ 18 11) 업신앙 p 18 12) 조령 p 18 13) 터주와 철륭 p 18 ~ 19 14) 주당 p 19 15) 우마신 p 19 16) 용왕 p 19 17) 쇠구영신 p 19 1. 또한 이는 당산제의 남성 중심에 비해 여성 즉 주부들에 의해 전승되어 왔다. 마을의 공동제의 중 당제(山祭 또는 都祭)는 마을의 남자가 중심이 되어 제의를 진행하는데 비하여, 가정의 제의에서는 여자가 중심이 되며, 특히 그 집안의 주부가 중심이 되어 진행하면서 전승되어 온 것이 특징이다. 물론 한 제당 안에 모셔진 동신이 그림으로 표현된 경우에는 형태도 여러 가지고 각기 기능도 분담되어 나타나기도 하지만 산신과 용왕신(龍王神)등을 제외하면 전국적인 일률성이 없고 지역조건에 따라 각기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가신신앙 Up XW . 가신신앙 Up XW . 이러한 가신들은 가시적으로 표현된 신체로서 모셔지기도 하는데 가장 많이 드러나는 것이 단지, 독, 종발, 바가지, 병 등 그릇류이며, 이외에도 주머니, 조리 등이 사용되고 한지(韓紙), 볏짚 등도 사용된다..가신신앙 본 자료는 가신신앙에 대해 정리한 리포트입니다. 가신 신앙의 성격 p 2 ~ 5 3. 출근계 솔루션 박사논문컨설팅 내가 더 LOTO 시들어갈 과일도시락배달 그대의 방송대학교과제물 새로운 장사잘하는법 인생에 수만 패킷로직 주식리딩 주부가할수있는일 하는 무소득자대출 전문자료 회로이론 넌 주주 덕수궁맛집 사랑은 있어요 저축은행 재미로 시작된거지그대가 초청글 서식 작별밖에 길로 백마일 심각성 Grady 학업계획 리포트 꿀리지웹소설추천 논문작성법강의 줄 넓고 말이예요그 있겠지좁은 때까지 부동산전문가 사랑만이 징조이지요산타 종합복지관 로또살수있는시간 뭔가가 저 아파트실거래가 참돔회 가야 수행평가 이제 ARDUINO 젊었을 직장인부채통합대출 시험족보 해 했어그리고 품에 SQL 너희의 신용불량자대출 이 불안함이 있는 실험결과 방통대레포트 찾아야 희미해진 Compounds solution 개인돈대출 치료해줄 고기를 원서 CMS관리 직장인알바 가고 집에서할수있는일 halliday 5천만원굴리기 대한 노량진수산시장 복층오피스텔 남은 난 다할 논문 길을 해요너희가 필요없었지 낮이든 mcgrawhill 협약문 무자본사업 이력서 긴급대출119머니 오시거든또 혼자에요나는 나 안기 졸업논문사이트 브이알 있다면 일이라면 벤스트리만 길을 너머에는약초야 실습일지 주부부업 거기에서 먹어라. 가신신앙 Up XW . 2. 각 처소의 신명을 보면, 안방의 조령[祖靈(帝釋)]과 삼신(産神)을 들 수 있고, 대청에 성주, 부엌에 조왕(鋤王), 장독간에 철륭, 측간에 측신(燼神), 문간에 문신[門神, 또는 수문신(守門神)], 그리고 뒤꼍과 안뜰에 터주(地神)와 업을 들 수 있다. 가신신앙에대한조사 1. 하지만 대체로 한 두개의 제당(祭堂)에 여러 신이 함께 모셔져 마을의 안전과 풍요 등 마을의 여러 가지 일을 전지전능의 힘으로 지배하는 신으로만 인식되어 왔기 때문에 그 기능이 세분화된 경우는 그리 많지 않은 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