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상담및가족치료 가족상담 및 치료의 정의를 기술하시고, 이를 바탕으로 개인상담과 가족상담의 특성과 차이를 서술하시오. 자료
[목차]
서론
본론
1. 가족상담의 정의
2. 개인 상담과 가족 상담의 비교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가족이란 인간이 생활해 오면서 기본 단위이자 개인과 사회의 존속을 위해 중요한 작은 집단이다. 1)1) 이민주. 「한국 가족의 현실에 대한 소고: 가족주의와 사회적 실체로서의 가족해체현상에 대하여」. 경남발전 (2005)
그러나 최근 가족구조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변화되는 사회를 반영한 결과이면서 가족구성원들의 삶과 가치관의 변화가 나타내는 지표로서 사회변화를 주도하는 측면을 보여주기도 한다(이민주, 2005). 현재 우리사회의 가족구조 변화는 1인가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가족생활주기에서 가족을 구성하는 시기가 점차 늦어지고 있고 조혼인율의 감소를 통해 새로운 가족이 구성되는 비율은 낮아지며, 가족이 해체되는 비율은 높아지고 있어 가족이 해체되어가는 현실을 보여준다. 2)2) 서종수. 「건강가정사를 중심으로 살펴본 가족상담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방안」. 복지상담연구. (2xxx)
이처럼 가족해체로 인해서 가족 내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과 함께 오늘날의 현대사회에서는 ‘가족상담(family counseling)’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서종수,2xxx).
주로 국내에서 가족 상담이 이루어지는 곳을 살펴보면 크게 공공 영역과 민간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가족 상담을 진행하는 공공기관으로는 가정센터,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가정폭력상담소, 성폭력상담소, 정신건강증진센터, 학교상담, 가정법원, 사회복지관 등이 있으며, 민간에서 이루어지는 상담은 사설클리닉, 민간상담센터가 대표적이다. 3)3) 정혜정. 「가족의 위기 대처를 위한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족상담 서비스 강화방안」. 가족과 가족치료. (2015)
가정센터에서 진행되고 있는 가족 상담에는 가정생활 관련 상담 및 치료, 위기가족, 다양한 가족의 건강성 증진을 위한 상담 및 치료, 이혼의사가 있거나 이혼이 정해진 가족에 대한 상담, 가정폭력 상담을 포함한다(정혜정,2015) 민간영역에서는 가족상담 외에 아동상담이나 심리상담센터 등에서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